소방

[스크랩] 2차 점검실무대비 점검항목 정리

東江 2016. 3. 16. 14:13

1-1. 옥내외소화전설비의 작동점검점검시

주요기능 점검사항에 대해 기술하시오. ★

암기법 : 성최소 제주비..

1.펌프 능시험배관을 이용한 펌프 성능시험.

2.상층 소화전을 이용한 방수시험, 방수상태 확인.

3.상층의 소화전 개방시 송수펌프 자동기동 및 기동표시등 점등확인.

4.어반펌프기동스위치가 자동 상태인지 확인.

5.배관 개폐밸브 개방확인.

6.상전원의 절환 확인..

 

1-2.(수계설비 공통.) 수원의 종합정밀점검항목.

암기법 : 주옥겸수. 양수질위..

1.주된 수원의 저수.

2.옥상수조의 저수.(옥내, sp,간이sp.)

3.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또는 흡수구의 위치.

4.수원의 수질..

 

1-3. 옥내외 소화전설비 작동기능점검시

수원의 점검 사항은 ?

암기법 : 물급수.저경밸..

1.의상태.

(현저한 부패, 부유물, 침전물 등의 여부.)

2.수장치.(변형, 손상, 현저한 부식 등의 여부/기능정상여부).

3.위계.(정상적인 작동여부.)

4.수위 경보장치.(정상적인 작동여부.)

5.브류.(개폐조작이 쉬운지의 여부.)

 

1-4. 옥내소화전 수조의 종합정밀점검 시 수조의 점검 항목은 ?

(수계설비 공통.)

☞설치기준과 동일

암기법 : 점동수사. 조배청표..

1)검의 편의성.

2)결방지 조치.

(또는 동결 우려없는 장소의 환경)상태.

3)위계.(또는 수위확인조치.)

4)수조 외측다리.

5)명설비(또는 채광상태).

6)수밸브 또는 배수관.

7)수조 내부 소상태 및 방청조치.

8)“옥내소화전용(스프링클러설비용)수조”의 지 설치 상태.

9) sp, 간이sp, 물분무설비는 수조와

주배관 접속부의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지 설치상태 추가..

 

1-5. 옥내소화전 작동기능 점검시 가압송수장치의 점검항목 및 점검내용은 ?

1. 전동기.

암기법 : 본회베축..

본체 : 기능의 정상 여부.

회전축 : 원활한 회전 여부.

베어링부: 윤활유의 변질 등이 없고 필요량 충전여부.

축부속 : 풀려 있거나 기능의 정상 여부..

 

2. 내연기관.

암기법 : 본축연..

본체 : 윤활유 적정 여부.

축전지 : 정상전압․전류 여부.

연료 : 연료탱크 정상,(20분이상) 및 누수

여부.

3. 펌프.

암기법 : 성연압 회베그..

성능. : 정상여부.(성능시험을 통해서.)

연성계 및 압력계 :정상 작동여부.

회전축 : 원활한 회전 여부.

베어링부 : 윤활유의 오염, 변질 등이 없고 필요량 충전 여부.

그랜드부 :현저한 누수의 유무..

 

1-6. 옥내소화전의 가압송수장치 종합정밀점검항목.

암기법 : 접~동전토압계.

성순환기물. PQ 충내표..

1.근 : 펌프설치장소의 검편의성 및 화재, 침수 등 재해방지환경.

2.결방지조치(또는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의 환경)상태.

3.용 :다른 설비와 펌프를 용하는 경우 소화용으로 사용시 애 발생여부.

4.펌프 출측 력계 및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설치상태.

5.펌프능시험배관 상태(구경 포함).

6.온상승방지 밸브 설치위치, 배관규격,

그 밖의 설치상태 및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7.동스위치 또는 수압개폐장치의 기능.

8.올림장치 용량,배관 및 보급수

보급상태.

9.올림장치의 감수시 자동급수 및

저수위 경보작동상태.

10.옥내소화전 동시사용시 방수 및 방수량.

11.압펌프 용량,양정 및 “옥내소화전용

충압펌프”의 표지 설치상태.

12 .연기관의 경우 기동장치 및 축전지

상태.

13.가압송수장치의 “옥내소화전펌프”의

설치상태..

 

1-7. 옥내소화전설비의 종합정밀점검시 전동기의 점검 항목은 ?

암기법 : 베원 과윤방.

1)이스에 고정 및 커플링 결합 상태.

2)활한 회전여부.(진동 및 소음상태).

3)운전시 열 발생여부.

4)베어링부의 활유 충진상태 및 변질

여부.

5)본체의 청보존 상태..

1-8. 옥내소화전 배관 및 밸브류 종합정밀점검 항목은 ?

암기법 : 재동겸장 흡토. 유개다청..

주성후체는 옥내만. .

1)배관의 질.

2)결방지조치 또는 동결우려가 없는

장소의 환경상태.

3)른 설비와 급수배관을 용하는 경우 소화용으로 사용시애발생여부

4)입측 배관의 공기고임방지조치 및

여과장치상태.

5)출측 배관의 유속.(옥내, sp만 해당.)

6)량측정장치의 용량 및 설치상태.

7)폐표시형밸브의 종류, 설치위치

및 기능.

8)른 설비의 배관과의 분방식 및

상태.

9)배관내부의 소상태.

10)주배관 및 가지배관의 구경.

11)성능시험배관이 구경 및 설치상태.

12)후드밸브의 규격 및 누수량.

13)체크밸브의 종류, 규격, 설치위치 및 상태..

1-8. 옥내소화전의 종합정밀점검시 옥내소화전 옥외송수구 점검항목.

암기법 : (옥내). 장개규 이자체

(SP).장개규자체/

 

1)설치소 및 위치.

2)폐밸브 설치금지 여부.

옥외소화전 외는 개폐밸브 설치장소 및 조작을 위한 편의성 상태.

3)송수구의 격 및 접결나사의 보호

상태.

4)송수구간 격거리.

5)동배수밸브, 크밸브의 설치위치 및 상태..

 

sp는 2개 추가됨.

-송수구의 송수압력 시 와.

-송수구의 송수 담당적,

송수구의 개수..

 

1-9. 옥내외소화전설비의 함 등의

종합정밀점검항목.

암기법 ..재두 크표 개장사 기방접표..

 

1.함의 질,께.

2.문의 기,지 및 방의 용이성 및

애물 설치여부등 용상의 편의상태.

3.동스위치 방식의 경우 그 위치 및

기능.

4.수구의 규격,수평거리,높이 및 밸브조작의 부드러움등 사용상의 편의성.

5.수압력이 7kgf/㎠초과하는 경우 감압조치.

6.방수구와 호스의 결상태, 호스의 구경,

적재상태(긴급사용 편의) 및 설치개수.

7.호스와 관창의 결상태 및 관창의

설치개수.

8.시등의 설치상태..

 

2-1. SP, 간이SP의 방호구역 등에 대한 종합정밀점검항목은 ?

암기법 : 면유배설 헤자일..

1.방호구역의 적.

2.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의 치층의 구분.

3.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의 용실 점검구의 규격․위치 및 표지

4.드로의 급수가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의 경과여부.

5.연낙차에 의한 유수압력과 유수검지장치의 유수검지압력의 적정.

6.제개방밸브의 방수구역 및 헤드의

설치개수..

 

2-2.스프링클러의 펌프 및 일제개방밸브

작동신호에 대한 종합정밀점검항목 중

펌프 장치의 작동신호 수신 및

작동상태 점검항목은 ?

기법 : 펌 유유 수작 혼..

1)유수검지장치의 수신호.

2)압개폐장치의 작동신호.

3)유수검지장치 또는 수압개폐장치에

의한 신호 용..

 

2-3.스프링클러의 펌프 및 일제개방밸브

작동신호에 대한 종합정밀점검항목 중

일제개방밸브의 작동체계, 신호수신 및

작동상태 항목은 ?

암기법 : 일준 감수폐수 감종면빨..

1)화재지기 회로에 의한 재감지신호.

2)압개폐장치의 작동신호.

3)쇄형하향식헤드의 경우 화재감지기

회로방식.

4)동기동(전기식 및 배수식)장치와 연동.

5)화재지기의 류 및 감지적.

6)화재감지기회로의 신기의 설치상태..

 

2-4. 스프링클러 음향장치의 종합정밀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유일 교감연.

4.향장치의 류 및 치.

1.수검지장치 사용의 경우

유수검지와 음향장치의 동.

2.제개방밸브 사용의 경우

화재감지기와 음향장치의 동.

3.차회로방식 화재지기 경우

1회로 화재감지시 음향장치와 동..

 

 

2-5.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기능점검시 시험밸브를 개방할 경우 시험밸브의 점검내용을 기술하시오?

암기법 : PQ유압표음 기수가기..

 

1.방수압, 방수확인.

2.수검지장치의 력스위치 작동 및 수신반의 화재시등 점등확인.

3.해당 방호구역의 향경보 확인.

4.동용 압개폐장치의 작동과 압송수장치의 확인..

 

2-6.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기능점검시

슈퍼비조리 판넬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상전 기준 밸브..

 

1.원 정상여부.

2.동스위치 작동시 비작동식 밸브 개방여부.

3.밸브개방시 밸브개방 램프점등여부..

 

2-7.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기능점검시

유수검지장치의 점검항목 및 점검내용을 기술하시오?

암기법 : 본리압 음표..

점검항목은 밸브본체, 리타딩챔버, 압력스위치, 음향경보장치 및 표시장치..

 

2-8.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밸브본체

작동상태 기능점검..

암기법 : 수복 배말 유작경 압볼..

1)신반에서 자동구스위치를 누르고 실시.

2)수검지장치의 수밸브를 개방.

3)단시험밸브를 개방 중 택하여 실시하고 작동상태 기재.

수검지장치 동여부 및 보발령

여부.

력스위치 밸브 쇄여부..

 

2-9.건식스프링클러설비의 밸브본체

작동상태 점검사항.

암기법 : 주잠 시압경 필복..

1)건식밸브의 2차측 밸브를 그고 실시할 것.

2)험밸브를 개방한다.

3)시험밸브의 개방으로 력스위치의 동작 및 보장치의 작동확인.

※작동상태 점검 후 시설을 반드시 원조치,.

 

2-10.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밸브본체 작동상태 점검사항.

암기법 : 주잠 솔수슈감

1)준비작동식밸브의 2차측 밸브를 그고 실시.

2)수신반에서 레노이드밸브를 개방.

3)준비작동밸브의 동기동밸브를 작동.

4)퍼비조리판넬의 기동스위치를 on.

5)A,B회로가 다른 두 개의 지기를 동시에 작동.

중 선택하여 실시하고 작동상태 기재..

 

2-11.일제살수실 스프링클러설비의 밸브본체 작동상태 점검사항..

암기법 : 주잠 수함감 일배수..

 

※일제개방밸브의 2차측 밸브를 그고 실시할 것.

1)동기동의 누름버튼을 눌러서 동작.

2)신반에서 해당 지기회로를 복수로 동작.

3)제개방밸브로부터 관을 연장시켜 설치된 동개방밸브를 개방하여 동작 중 택하여 실시하고 작동상태 기재..

 

2-12. 스프링클러헤드의 종합정밀항목은 ?★★

암기법 : 누배무 최살반 경연측보..

1)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할 장소의 헤드 설치 락여부.

2)스프링클러헤드의 치거리 및

수평거리.

3)대부 또는 연소우려 있는 개구부의 경우 방형헤드 설치상태.

4)폐쇄형헤드 설치장소의 고주위온도와 표시온도.

5)스프링클러헤드 주위의 수장애 상태.

6)스프링클러헤드의 사판의 설치상태.

7)사진 천장의 경우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상태.

8)소우려 있는 개구부에 대한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상태.

9)벽형헤드의 경우 배치상태.

10)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위치와 의 수평거리..

 

2-13. 스프링클러헤드 작동기능점검항목은 ?.

암기법 : 외장미..

1.외형.

(새거나 변형, 손상 등이 있는가의 여부).

2.감열 및 살수분포 애.

(헤드 감열 및 살수분포의 방해물 설치유무).

3.경계부분(칸막이 설치 등으로 인한 헤드의 미설치 부분의 유무)..

 

2-14. 감시제어반의 점검항목.

★(sp감시제어반, 나머지는 제어반 공통.)

암기법 : 점겸장 펌표음 자수절.

비전저예 도전동..

1.설치장소의 검의 편의성 및 화재,침수 등 재해방지환경.

2.다른 설비와 제어반을 용하는 경우

소화용으로의 사용시 애 발생여부.

 

3.각 프의 작동시등 및 향경보기능

상태.

4.각 펌프의 동 및 동으로의 작동 및

중단기능.

5.각 배선의 연저항.

 

6.상전원이 있는 경우 상용 또는

비상전원 환기능.

7.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수위 표시

및 경보기능.

8.비전원 확보상태 및 전환기능.

9.모든 확인회로의 통,작동시험기능

및 결과.

10.감시제어반 용실을 설치하는 경우 방화구획, 설치장소, 조명, 급배기설비, 무선기기 접속단자, 최소면적 및

정리상태.

 

11.력제어반의 설치장소,용도표지,재질

및 두께..

 

2-15.(SP.) 동력제어반 종합정밀점검 항목은 ?

암기법 : 소함장 펌표음 자수절..

1. 방용으로의 시.

2. 외의 재료, 두께 및 강도등.

3. 설치소 및 위치.

4. 각 프의 작동시등 및 향경보

기능.

5.각 펌프의 동 또는동의 작동

및 중단기능.

6.각 배선의 연저항..

 

2-16.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의 배선에 대한 종합정밀점검항목은 ?

암기법 : 옥내는 비동가 배종규 적.

.스프링클러는 비동가 배종규 과적..

 

1.상전원으로부터 력제어반 및

송수장치에 이르는 전원회로의 내화배선

공사의 종류 및 상태.

2.밖의 전기회로의 선공사의

및 상태.

3.사용전선의 류별 격.

4.전류차단기 및 접속단자의 표지.

(스프링클러만 해당.)

5.각 배선의 전기설비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에의 합여부..

 

2-17. 옥내 및 스프링클러의 수압시험

종합점검항목은 ?★★

암기법 : 가송입판..

1)압송수장치 및 부속장치의 수압시험 결과.

2)외연결수구 및 연결배관의 수압시험 결과.

3)상배관 및 가지배관의 수압시험 결과.

4)정기준..

수압시험은 14kg/㎠의 압력으로 2시간

이상 시험하고자 하는 장치의 가장 낮은부분에서 가압하되, 배관과 배관, 배관 부속류, 밸브류, 각종장치 및 기구의 접속

부분에서 누수 현상이 없어야 한다.

이 경우 상용수압이 10.5kg/㎠이상인

부분에 있어서는 그 상용수압에 3.5kg/㎠를 더한 값으로 한다..

 

2-18. 옥내소화전 전원 종합정밀점검항목은 ?

(sp, 간이sp 제외 수계설비 공통.)

암기법 : 접배 배방절 비종용

상중비 자수전 비장조방다..

1.비상전원 설치장소의 검편의성 및

화재,침수등 재해방지환경.(접근성.)

2.수전전압에 따른 식.

3.각 선의 연저항.

3.상전원의 류 및 량.

5.용전원의 전력공급단시 상전원의

전력공급으로의 동 및 동전환상태.

6.비상전원의 설치소,명,화구획 및

비상전원설비외 른 설비,물품의 설치

또는 비치여부..

 

2-19.스프링클러헤드의 폐쇄형 헤드의 점검착안사항은 ? (기출.)

암기법 : 누간온 63불누

1)헤드 설치 부분에 락되어 있는 부분은 없는가.

2)헤드의 격은 규정에 맞는가.

3)헤드는 주위도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되어 있는가.

4)헤드의 주위에는 60센티미터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가.

5)부착면과의 거리는 30센티미터 이하인가.

6)헤드의 부착각도 량 또는 변형 등으로 살수가 한쪽으로 치우칠

우려가 없는가.

7)헤드 부분에서의 수되는 곳은 없는가..

 

2-20.스프링클러헤드중 개방형 헤드의 점검착안사항은 ? (기출.)

암기법 : 미간부장..

1)헤드의 설치 부분은 없는가.

2)헤드의 격은 규정대로 유지하고 있는가.

3)헤드의 착각도 또는 변형으로 살수가 한쪽으로 치우칠 우려없나.

4)헤드 주위의 애물로 인하여 유효살수가 불가능한 부분은 없는가..

 

3-1. 물분무소화설비의 종합정밀점검 중

헤드 및 배수밸브 점검항목은?

암기법 : 개고리차..

1)헤드 설치수 및 설치위치.

2)압의 전기기기 설치장소의 경우 격거리의 적정여부.

3)고,주차장의 경우 배수설비 설치 및 기울기의 적정여부..

 

3-2. 물분무설비의 기동장치 및 음향장치에 대한 종합정밀점검 항목은 ?

암기법 : 기성표 자감폐연..

1.동장치의 능 및 지 설치상태.

2.동식 기동장치의 경우 자동화재탐지

설비의 지기의 작동과 음향장치의

동.

3.자동식 기동장치의 경우 쇄형 스프링

클러헤드의 개방과 음향장치의 동..

 

3-3.물분무설비 헤드 및 배수밸브..종합정밀 점검 항목은 ?

수위 고전이 빼기..

 

1.헤드설치개 및 설치치.

2.압의 기기기 설치장소의 경우

거리 적정 여부.

3.차고,주차장의 경우 수설비.

(배수구, 기름분리장치등) 설치 및

울기 적정여부..

 

3-4. 물분무설비 제어밸브의 종합정밀점검항목은 ?

암기법 : 위표 자조 수개..

1.제어밸브등의 설치치 적정여부.

2.“제어밸브” 지설치 상태.

3.동개방밸브의 기동작부 및 동식

방밸브의 설치상태..

 

4-1.포소화설비의 기동장치 및 음향장치.

종합정밀점검 항목은 ?

암기법 : 직원가수혼 조표 수수

자감폐연 기연경음..

1.접조작, 격조작에 의한 압송수

장치, 동식 개방밸브 및 소화약제

합장치의 기동여부.

2.기동장치 작부의 설치상태 및

설치 여부.

3.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개 적정 여부.

4.동식 기동장치의 자동화재탐지설비

지기 또는 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동하여 기동여부.

5.동장치와 동하는 자동보장치의

음향경보 상태..

 

4-2. 포소화설비의 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에 대한 종합정밀점검항목은 ?

 

암기법 : 팽헤Q 보탱사 고점 PQ 고개자량.

1.창비율에 따른 방출구의 적정 여부.

(팽창비 20이하는 포헤드, 팽창비 80이상 1000미만은 고발포형 고정포 방출구.)

2.포드방사의 적정여부.

6.조포소화전의 설치 상태.

5 .위험물옥외크의 고정포방출구까지

다리 설치상태.

3.정포방출구의 검구 설치상태.

4.고정포방출구의 방출력 및 방출

적정 여부.

7.발포용 고정포방출구 설치시 구부

동폐쇄장치 설치 상태.

8.고발포용 고정포방출구의 방출

적정 여부..

 

4-3. 포소화설비의 종합정밀점검시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화온변점 PG액량..

1)재 등 재해로 인한 피해의 방지환경.

2)온의 변동에 의한 포의 장애 발생 여부.

3)포소화약제의 질우려 및 검의 편리성여부.

4)약제탱크의 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력계의 설치여부.

5)가압식이 아닌 경우 라스게이지 설치 여부.

6)면계 또는 계량봉 설치 여부.

7)포소화약제 저장의 적정여부..

 

5-1.물올림장치의 설치목적은 ?

1)기능 : 후드밸브에서 펌프사이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

2)설치목적 :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설치하며 펌프기동시 펌프내와 흡입측 케이싱 및 흡입측 배관에 상시 물을 공급하게됨..

 

5-2.물올림장치의 설치기준은 ?

1)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가압송수장치에 설치.

2) 물올림장치에는 전용의 탱크를 설치할 것.

3) 탱크의 유효수량은 100리터 이상으로 하되, 구경 15미리이상의 급수배관에 따라 당해탱크에 물이 계속 보급되도록 할 것..

5-3.물올림장치 설치시 유의사항은 ?

1) 물올림탱크를 2개이상의 소화설비의 펌프에 공용으로 연결사용시.

① 물올림탱크의 용량은 가능하면 200리터이상으로 할 것.

② 모든 펌프 흡입측 배관은 각각 수조에 연결후 설치할 것..

 

 

 

5-4. 물올림장치의 작동기능 점검표 점검항목과 점검내용은 ? ★★

암기법 : 저급밸..

1.저수위 경보장치.

① 변형, 손상, 현저한 부식등의 여부.

②수량이 이분의 일 감수시 저수위경보 작동여부.

2.자동급수장치.

① 변형, 손상, 현저한 부패 등의 여부.

② 수량이 삼분의 이 감수시 자동급수 여부.

3.밸브류 : 개폐조작이 쉬운지의 여부..

 

1-1.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종합정밀점검.

항목중. 소화약제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전체대 국공대 호노소총. 배저..

(가스계 공통.)★★

1)역방출방식의 경우 각 방호구역 적별, 방호상 종류별 소화약제 정량.

2)소방출방식의 경우 방호간별,

방호상 종류별 소화약제 장량.

3)스릴 방식의 경우

즐별 소화약제 저장량.

4)화약제저장량..

 

1-2.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수동식기동장치 에 대한 종합정밀 점검항목은 ?

(가스계 공통).★★

.암기법 : 방조전 방음..

1)호구역별 또는 방호대상별 설치위치 및 기능.

2)작부의 보호판 및 기동장치 표지

상태.

3)원 및 위치표시등 상태.

4)출지연 비상스위치 작동상태.

5)향경보장치와 연동기능..

 

1-3.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동식기동장치 에 대한 종합정밀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수전 전배설 가내용충충안 기개..

1)동기동 기능유무 및 상태.

2)기식 기동장치의 경우 저장용기에 대한 자개방밸브의 치적정여부 및

전자개방밸브의 치.

3)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기동용 가스용기 및 밸브의 압력 적정.

4)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기동용 가스용기의 적, 전량,

충전비 및 전밸브의 적정여부.

5)계식 기계장치의 경우 방장치의

시험작동 상태..

 

1-4. 이산화탄소 저장용기 점검항목.

암기법: 분표충내합 저선안작 개안방자수

저안봉 액압경 자냉..

1)설치장소의 화구역, 방호구역과의

리 및 지.

2)저장용기의 전비.

3)압시험의 격 여부.

4)장용기와 택밸브사이의 전장치

동압력 및 기능.

5)방밸브의 전장치의 기능.

6)개방밸브의 개방식(전기식, 가스

압력식, 기계식) 및 자동․수동 개방기능

-- 이상은 할론과 공통.

7)압식의 경우 전밸브 및 판의

작동압력 및 기능.

8)저압식의 경우 면계, 력계 및

압력강하보장치의 기능.

9)저압식의 경우 동장치의 기능..

 

1-6. 이산화탄소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의 점검항목.★(가스계 공통).

암기법 : 탐제 화연 음감벨표.

제화 장환점취 자수..

1)자설비 신기로 화재표시반을 하는 경우 자탐설비 수신기의 화재표시반 기능유무.

2)어반의 신호수신방법, 상태, 음향경보장치의 작동, 소화약제의 방출 및 방출 시간 지연등의 기능상태.

3)재표시반의 제어반과의 동상태.

4)재표시반의 각 방호구역별 향경보장치의 작동기능, 지기 작동 명시 표시, 및 부자 등 경보기의 기능상태.

5)화재표시반의 소화약제 방출시등의 점등상태..

6)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의 설치소,

경적정 여부 및 검의 용이성 여부.

7)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의 급설명서의

비치 및 적합여부.

8)동식기동장치방식의 경우 자동수동 절환기능 절환표시등의 점등상태.

9)동식 기동장치방식의 경우 화재표시반의 방출스위치의 작동표시등 점등

상태..

1-7. 이산화탄소에 대한 종합정밀점검 항목중 배관등의 점검항목은 ?

(가스계 공통)

암기법 : 전종규방 동내 구설헤방2선..

1)용여부.

2)배관의 류, 격 및 식처리의

적정 여부.

3)관을 사용하는 경우 압력의

적정여부.

4)배관의 경.

5)배관 구경이 계프로그램과 일치여부.

6)분사드의 사압력 적합여부.

7)2이상의 방호구역(또는 방호대상물)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저장용기를 공용 하는 경우 선택밸브의 배치, 설치장소 적정여부 및 표시상태.(청정만 제외.)

8)택밸브의 적부 및 표시상태.

(청정만 해당.).

 

1-8. 이산화탄소에 대한 종합정밀점검 항목중 이산화탄소 분사헤드의 점검항목은 ?

(가스계 공통.)

 

1.전역방출방식 분사헤드.

암기법 : 전배압 시오설..

1)용여부.

2)헤드치 및 설치위치 적합여부.

3)헤드의 방사력 적합여부.

4)소방대상물 기준간 내 방사압력

적합여부.

5)분사헤드의 리피스구경이

계프로그램과 일치여부.

(분말은 오설 제외.).

 

2.국소방출방식 분사헤드.

암기법 : 장시압 오설..

1)헤드 설치소 적합여부.

2)기준간 (30초) 내 방사완료 가능여부.

3)헤드의 방사력 적정여부.

4)분사헤드의 리피스구경이 계프로

그램과 일치여부.

(청정, 분말은 오설 제외.).

 

3.호스릴방식 분사헤드.

암기법 : 수시장위.

1)방호대상물과 호스접결구의 평거리 적합여부.

2)간당 방출량 적합여부.

3)소화약제저장용기 및 호스릴 설치소 일치여부.

4)소화약제저장용기의 치표시등 설치 및 점등상태..

 

1-9.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종합정밀점검시 개구부의 자동폐쇄장치의 점검항목.★★(공통.)

암기법 : 환자 개통자 복위표.

1)기장치 동정지 기능 적합여부.

2)구부 및 기구의 동폐쇄장치 설치 및 기능의 적합여부.

3)자동폐쇄장치의 구장치의 치 및

지 적합여부..

1-10.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작동기능점검시 기동용 가스용기등의 점검항목 및 점검내용을 기술하라. ★★(공통.)

암기법 : 형량개작/ 솔이봉 수감동..

 

1) 외형 : 변형․손상의 유무.

2) 가스량 : 규정량이상 저장 여부.

3) 용기밸브 개방장치 : 단자의 풀림․파괴침의 변형 등이 없고 정상작동 여부

4)작동확인 :

기동용기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 이탈 후 봉침(파괴침)작동

여부

작동방법 :

① 수동조작 스위치 작동.

② 감지기 2개회로 동작.

③ 수신반에서 동작시험 스위치조작중

택하여 실시..

※주의사항: 기동용기와 솔레

노이드밸브를 반드시 분리

후 실시..

 

2-1.청정소화약제 종합정밀점검실

저장용기에 대한 점검항목은 ?

(10회 기출)★

암기법. : 분표충 환약충동..

1)설치장소의 방화구역, 방호구역과의

리 및 지.

2)저장용기의 전비, 충전압력, 설계압력의 적정여부.

3)설치장소의 경 적정여부.

4)제명 등 표시의 적정여부.

5)전량 및 충전압력의 확인구조

적정여부.

6)일 집합관에 접속되는 저장용기의

충전비 적정 여부..

 

3-1. 분말소화약제 종합정밀점검실

저장용기에 대한 점검항목은 ?

암기법. : 분표충 내안정 가분전압 별청.

1)설치장소의 방화구역․방호구역과의 리 및지.

2)저장용기의 전비.

3)저장용기의 전밸브 및 압작동장치의 기능.

4)저장용기의 용적 여부.

5)압용인 경우 가스용기와 말용기의 접속여부.

6)가압용인 경우 가스용기의 자개방밸브 설치 적합여부.

7)가압용인 경우 가스용기의 력조정기 설치 적합 여부.

8)청소용가스의 도 저장용기 설치

여부.

9)가압용 및 축압용인 경우 소용 가스의 합격여부..

 

4-1. 수동식 소화기의 작동기능에 대한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장거적표 용누켑호 압핀..

1) 설치소 :

-통행 또는 피난에의 장애여부.

-소화약제는 동결․변질 등의 우려가 없고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여부.

2) 설치리:

보행거리가 규정치 이하인가 여부.

3) 응성 :

설치장소에 적응하는 소화기인가의 여부.

4)위치지 :

설치 위치표지 부착 여부.

5)본체기 :

변형․손상․현저한 부식 등의 여부.

6)름쇠, 레바등의 조작장치 :

변형․손상 등이 없고 정확한 장치 여부.

7) :

변형․손상 등이 없고 정확한 결합 여부 .

8)스, 혼, 노즐.

- 본체 용기와의 정확한 결합 여부.

- 이산화탄소소화기는 혼 손잡이의 탈락

여부.

9) 지시력계

- 지시압력치의 적정 여부.

10)소화

- 분말소화약제와 고체화된 것이 있는가

의 여부.

11)안전 : 봉인의 탈락 여부..

 

1-1자동화재탐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경계구역.★

암기법 : 동면자..

1)경계구역의 별,층별 구분상태.

2)경계구역의 적,길이 적합여부.

3)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와 동소화설비의 화재감지기를 병용하는 경우 소화 설비 방사구역과 경계구역의 적합여부..

 

1-2. 자동화재탐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수신기★★

암기법 : 종비음감 연하조2..

1)수신기의 류 및 규격.

2)화재보 방지기능.

3)향기구의 음색, 음량 및 소음과의

구별여부.

4)지기 또는 발신기 작동의 구분 및

계구역표시.

5)다른 방재설비반과의 동기능.

6)경계구역 당 나의 표시등 배치상태.

7)작스위치 높이.

8)수신기가 2이상 설치된 경우 상호간

연동하여 화재발생 상황 확인..

 

1-3. 자동화재탐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중계기 암기법 : 설 과상예 도예.★★

1)치장소 및 회로상의 설치위치.

2)전류 차단장치, 용전원 및

전원의 확보 및 기능.

3)통시험 및 비전원 시험기능

및 그 결과..

 

1-4. 자동화재탐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감지기의 점검항목.★

암기법 : 부환계공작 부위면..

공열반 정연제..

1)착높이별로 설치된 감지기의 종류.

2)기불량 장소, 실내용적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된 감지기의 종류.

또는 비화재보 방지 기능

3)단, 경사로, 복도 등의 연기감지기

설치상태.

4)감지기와 기유입구 거리.

5)감지기 동상태 적합여부.

6)감지기의 치 및 종류별 설치장소의 환경.

7)감지적 및 배치거리.

8)기관식 차동식 분포형감지기의 설치상태 점검.

9)전대식 차동식 분포형감지기의 상태점검.

10)열도체식 차동식 분포형감지기의 설치상태 점검.

11)온식 감지선형감지기의 경우 감지기와 감지구역 각 부분과의 수평거리.

12)기감지기의 경우 벽 또는 보로부터의 거리.

13)감지기 설치외 장소 적합여부..

 

1-5. 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기능점검 항목중. 감지기의 점검항목.★

암기법 : 외경 장미시..

SP 헤드 작동기능점검은 : 외장미..

1) 형 : 변형,손상,탈락,현저한 부식

등의 유무.

2) 계상황 :

①기능애 : 감열부의 기능장애가 되는 도장 등이 없고 열기류 또는 연기 유동의 장애물 유무.

경계 부분 : 설치 후의 용도변경,칸막이 변경등으로 인한 미경계부분의 이상유무 확인.

③가열, 가연험:

감지기에 가열, 가연시험을 한 경우

확실하게 작동하고, 또한 경계구역

의 표시의 적정여부..

 

1-6.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종합정밀점검항목중. 음향장치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주지발 저감..

1)음향장치의 설치위치.

2)구음향장치의 배치거리.

3)화층 등 선경보 기능 및 상태.

4)전압(정격전압의 80%)상태의 음량 및 지기의 연동기능..

 

1-7.자동화재탐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시각경보기의 점검항목은.★★

암기법 : 변바복도 유감..

1)형, 손상, 탈락, 현저한 부식등의 유무

2)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여부.

3)복도, 통로, 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 설치여부.

3)각 부분에 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여부.

4)지기 또는 발신기 동작시 정상

작동여부..

 

1-8.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기능점검중.

시각경보기의 점검항목은.★★

암기법 : 외설 노위기 변바복도유감..

점검항목은

형, 이, 설치치, 타 이고

점검내용은 종합정밀점검과 동일.

 

1-9. 자동화재탐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발신기. ★★

암기법 : 노감수위..

1)설치이 및 조작의 편의성 등 설치

장소 환경.

2)지회로상의 설치위치.

3)층별 평거리.

4)치표시등..

 

2-1. 종합정밀점검 점검시 비상방송설비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확음위수조..

하나층 2상전우 다다 자연상예 기음..

1)성기의 성입력 적부.

2)확성기의 설치치 및 평거리.

3)확성기에 음량정기를 설치한 경우 배선의 적합여부.

4)하나의 층에 단락, 단선시

다른 층의 화재통보 적부.

5) 2이상 조작부를 설치한 경우 상호동시

통화여부.

6) 2이상 조작부를 설치한 경우 전국역 방송여부.

7)선경보 및 경보를 발하는 구조의

적부.

8)른 방송설비와 겸용인 경우 다른

방송차단 여부.

9)른 전기회로에 대한 유도장애 발생

여부.

10)동화재탐지설비 작동와

적합여부.

11)용전원 및비전원의 적부.

12)향장치의 경보 및 음량의 적부.

13)기동장치 조작후 방송개시 소요간의 적부.

2-2. 작농기능 점검시 비상방송설비의 조작부등 점검항목 및 점검내용은 ?

 

1.조작부등.

암기법 : 접선2자연 원연비절 단음..

지: 현저한 부식ㆍ단선 등의 손상유무 확인.

②회로택 : 회로선택시험을 하여 당해 조작회로 및 관련되는 작동표시등과 화재등의 정상적인 점등 여부 확인.

2이상의 조작장치 : 2개이상의 조작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로 작동시켜 동시작동과 동시 통화의 가능여부 확인.

동화재탐지설비와동 :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하는 것에서는 화재신호가 송신될 때 자동적으로 작동하고 또한 상호간 기능장애의 유무 확인.

격조작기동 :원격조작기를 설치한 것에서는 어느 조작위치를 조작하였을 경우에도 쌍방의 계전기, 모니터, 출력계 등의 정상적인 작동여부 확인.

상용방송환 : 일반방송절환시험을 하여 일반방송상태에서 비상용 방송으로 확실하게 절환되고 또한 수동에 의해 복구하지 않는 한, 비상방송의 상태가 정상으로 계속 작동하는가의 여부.

⑦회로락 : 회로단락시험을 하여 당해 출력회로단락보호회로가 차단되고, 또한 그 내용의 표시를 함과 동시에 다른회로의 기능장해 유무 확인.

⑧화재표시 :화재음 신호를 발하는 것에서는 기동장치시험을 하여 음향의 정상여부 확인..

 

2).스피커.

암기법 : 음경조..

량등 :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계의 소음 등과 구별되는 가의 여부 확인.

보방식 :일제경보,구분경보 또는 상호경보의 경보 방식대로 울리는가의 여부 확인.

절기 : 비상용 방송시 지장 유무 확인.

3) 경종ㆍ공 등 :기능의 정상 여부 확인..

 

 

3-1. 비상경보설비의 종합정밀점검시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실면수 건음..

1)각및 바닥적당 설치개.

2)내장 전지 상태.

3)량, 음색 등 경보상태..

 

3-2. 종합정밀점검시 비상경보설비의 점검항목은.

암기법 : 비경 환위음 발전단..

1)설치장소 경의 적합여부.

2)향경보 전압 및 음량의 적합여부.

3)신기 설치기준의 적합여부.

4)원 및 배선의 적합여부.

5)독경보형감지기인 경우

설치기준에의 적합여부..

 

1. 종합정밀점검시 피난기구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피적용 개동부고 완미구 표설..

1)난기구의 응성 적부.

2)도별, 바닥면적별 설치 수 적부.

3)피난용 구부의 피난, 소화활동상 유효성 여부.

4)피난용 개구부의 일직선상이 아닌지 여부.

5)기구의 착방법 적부.

6)정식사다리인 경우 노대설치여부.

7)강기인 경우 로프 손상방지 및 길이의 적부.

8)끄럼대인 경우 안전강하 및 전락방지 조치 적부.

9)조대인 경우 안전강하 및 전락방지 조치 적부.

10)피난기구의 지 및 사용방법 지.

11)피난기구의 치제외 및 감소를 적용한 경우 적부..

 

2.종합정밀점검시 인명구조기구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수반표..

1)설치의 적부.

2)기구 보관장소의 화재시 출 용이성.

3)지 설치 적부..

 

3.종합정밀점검시 비상조명등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설점비조관..

1)비위치.(설비위치의 적정 여부.)

2)검스위치.(예비전원 내장형의 경우 변형, 손상, 탈락, 단자의 풀림, 절환기능의 정상 여부.)

3)상전원.(기능의 정상 여부.)

4)도.(설치된 장소의 각부분 바닥에서 1Lux이상.)

5)리상태..

 

4-1. 종합정밀점검시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숙다백어자 노어자 건충2..

1) 박시설 또는 중이용업소의 객실 또는 영업장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에 1개이상 설치여부.

2)화점, 대형점 ,쇼핑센타 및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m이내.

(지하역사,지하상가의 경우 25m이내.)

마다 3개이상 설치여부.

3)둠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인지의 여부.

4)사용시 동으로 점등되는지의 여부.

5)설치이의 적합여부.

6)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유효한 방전

방지조치가 되어있는지의 여부.

7)전식 밧데리의 경우에는 상시 충전 되도록 되어 있는지의 여부.

8)건전지 및 충전식 밧데리의 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

 

4-2. 작동기능점검시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점검항목 및 점검내용은 ?.

암기법 : 점검항목은 수구기.

점검내용은 숙다 백어자 어자 건충2..

점검항목은 설치수량, 구조 및 상태, 기타이고, 점검내용은 종합정밀점검의 점검항목과 같다. 다만 설치높이의 적합여부는 누락됨..

 

 

1-1. 소화용수소화설비 종합정밀점검중

소화수조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수투채..

 

1. 수원. 암기법 : 물급수..

1)물의 상태.(저수량의 적합 여부 등).

2)급수장치.

3)수위계 또는 수위 확인 조치..

 

2. 흡수관 투입구. 암기법 : 설겸규 표주..

1)흡수구의 치위치 및 표시.

2)다른설비와 용시 후드밸브 또는

흡수구의 위치.

3)격 및 설치수의 적합여부.

4)지설치.

5)위의 상황..

 

3. 채수구. 암기법 : 개설규 본주..

1)폐밸브.

2)채수구의 치위치 및 표시.

3)격 및 설치수의 적합여부.

4)체.

5)위의 상황.(소방차의 접근상황 등.).

 

1-2.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종합정밀점검

항목. ★★

암기법 : 수 백 거위관..

1)인입 도배관의 호칭지름 적합여부.

2)호칭지름 100 이상의 소화전 접속여부.

3)소화전의 리.(140 이하.)

4)소화전의 치.(소방자동차 진입여부).

5)리상태..

 

 

 

2-1.거실제연설비의 종합정밀 점검항목에 대해 기술하라.

(종합)

1.제연구역.

암기법 : 연차 화자 댐감연. ★

1)제연구역의 구획은 기의 유동을 단하는 구조인지 여부.

2)재시 동 연동되는 가동식의 벽

또는 샷다의 경우 작동상태 적정.

여부 및 설치높이의 적정여부.

3)제연용 퍼의 화재지기와의 동상태 점검..

 

2.배출구, 공기유입구.

암기법 : 배댐배손장 급댐공손장..

1)출용 퍼 또는상 및

배출애 발생여부.

2)기용 퍼 또는 기유입구의 상 및 배출애 발생여부..

 

3.풍도.

암기법 : 지패부단..

1)풍도의 지부 및 고정상태 적정여부.

2)풍도 접속부의 킹 등의 손상여부.

3)착부의 이완, 처짐, 녹 등의 상태.

4)배출풍도의 열처리 손상여부..

 

4.송풍기.

암기법 : 회원윤동..

1)송풍기의 전방향은 정상인지 여부.

2)회전축은 회전이 할한지 여부.

3)축 받침의 활유에 오염, 변질 등이 없고 필요량이 충전여부.

4)력전달장치의 변형, 손실 등이 없고 브이벨트의 기능이 정상여부..

 

5.전동기.

암기법 : 베원과윤방(수계와 동일함)..

1)이스에 고정 및 커플링 결합 상태.

2)활한 회전여부.(진동 및 소음상태).

3)운전시 열 발생여부.

4)베어링부의 활유 충진상태 및 변질

여부.

5)본체의 청보존 상태..

 

6.기동장치.

암기법 : 수연비..

1)동기동조작장치에 의해 정상적으로 작동여부.

2)자탐설비 기감지기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제연설비가 작동여부.

3)상전원 확보여부..

 

7.제어반.

암기법 : 스배계풀 감확제수.. ★

1)위치 등 조작시 표시등은 정상적으로 점등되는지 여부.

2)선의 단선, 단자의 풀림은 없는지 확인.

3)전기류 단자의 림, 접점의 손상 및 기능의 정상여부.

4)시제어반의 인표시는 정상적으로 확인되는지 여부.

5)제어반에서 연설비의 동 기동시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여부..

 

 

2-2. 작동기능점검시 거실제연설비 배연기의 점검항목 및 점검내용을 기술하라.

1) 전동기.

암기법 : 본동회축..

 

체 : 기동장치 조작에 의해 기능의 정상 여부 확인

력전달장치 : 변형,손실등이 없고 브이벨트의 기능이 정상인지 여부 확인.

전축 : 회전이 원활한지 여부.

받침 : 윤활유에 오염,변질이 없고 필요량의 충전여부 확인..

 

2)회전날개.

암기법 : 회축..

전축 : 동기를 회전시켜 날개가

정상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는지 여부.

받침 : 윤활유에 오염, 변질 등이 없고 필요량이 충전 여부..

 

2-3. 종합정밀점검시 부속실제연설비의 점검항목을 기술하시오.★★

(기출문제.)

암기법 : 차과급송 제수제비..

1.차압 및 방연풍속..

암기법 : 차화 개방..

1)제연구역과 옥내 사이의 최소압 40Pa(스프링클러설치시 12.5)이상의

적정여부.

2)재 발생층 출입문 방시 다른 층

차압의 적정여부.

3)연풍속의 적정여부..

 

2.과압방지조치 및 유입공기의 배출.★★

암기법 : 자플수배..

1)동차압과압조절형 급기댐퍼의 설치 또는 랩댐퍼의 설치상태 및 기능의

적정여부.

2)직풍도에 의한 배출방식의 경우 수직풍도의 구조 및 배출기능의 적정여부.

3)연설비에 의한 배출방식의 경우 배출기능 적정여부..

 

3.급기풍도 및 급기구.

1)급기풍도의 구조 및 설치상태 적정여부.

2)급기댐퍼의 작동상태의 적정여부..

 

4.송풍기.

암기법 :급배급배.

1)기송풍기의 풍량 및 풍압의

적정여부.

2)출용 송풍기의 풍량 및 풍압의 적정여부.

3)기송풍기의 설치상태 및 기능의 적합여부.

4)출용 송풍기의 설치상태 및 기능의 적합여부..

 

5.제연구역의 출입문.★

암기법 : 폐가균개..

1)평상시 자동쇄장치에 의한 닫힘 상태 유지 또는 연기감지기에 의한 폐쇄기능의 적합여부.

2)제연설비가 동될 경우 출입문이 110N 이하의 힘으로 개방되는지 여부.

3)출입문 틈새가 평균적으로 일한지 여부.

4)방시 유입공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폐쇄력이 있는지 여부..

 

6.수동기동장치.★

암기법 : 위조 급배송출..

1)수동기동장치의 설치치 적정여부.

2)수동기동장치 작시 제연구역에 설치된 기댐퍼의 방상태 및 당해 층의 출댐퍼 또는 개폐기의 개방상태.

3)수동기동장치 조작시 급기풍기,

배출용 풍기(설치한 경우), 입문

해정장치 작동상태..

 

7.제어반.

암기법 : 비축감원..

 

1)상용 축전지의 확보 및 기능의 적합여부.

2)어반의시기능 및 격 조작기능의 적합여부..

 

8.비상전원.

설치장소 및 기능의 적합여부..

 

 

2-4. 작동기능점검시 부속실제연설비의 점검항목 및 점검내용을 기술하시오.★★

(기출문제.)

암기법 : 제급송풍 수유제비..

1).연구역.

① 설치수 : 제연구역의 설치 적정성 여부

② 출입문:

-화재발생시 폐쇄유지 및 자동폐쇄 여부.

-도어체크밸브 등의 기능 장애 여부.

-출입문에 도어스토퍼 설치로 인한 화재시 자동 폐쇄 불가 여부.

2). 기송풍기.

①설치위치:설치위치의 적정성 여부.

②기동 :옥내의 화재감지기 동작 및 수동조작에 의한 작동 여부.

③외기취입구 :외기취입구의 적정성 여부.

3). 기풍도 및 급기.

① 급기풍도 :

-급기풍도의 적정성 여부.

-풍도안의 풍속의 적정성 여부.

②급기댐퍼 :

-설치의 적정성 여부.

-옥내의 화재감지기 동작 및 수동조작에 의한 댐퍼 작동 여부.

③방연풍속: 방연풍속의 적정성 유무.

④차압 : 차압 측정시 적정(40Pa~60Pa)성 여부.

4).동기동장치

①전층의 제연구역에 설치된 급기댐퍼의 개방 여부.

②송풍기의 작동 여부.

③당해층의 댐퍼 또는 개폐기의 개방 여부.

④제연구역의 출입문의 해정장치의 해정 여부.

5).입공기의 배출.

①유입공기배출의 적정성 여부.

-자연배출(굴뚝효과)에 의한 배출.

-옥내 화재감지기 동작 및 수동조작에 의한 댐퍼 및 송풍기 작동여부.

(*급․배기 방식에 한함.)

6). 어반.

①비상용 축전지의 정상 여부.

②급기용 댐퍼의 개폐에 대한 감시 및 원격조작 기능 정상여부.

③배출댐퍼 또는 개폐기의 작동여부에 대한 감시 및 원격 조작기능 정상 여부.

④송풍기의 작동에 대한 감시 및 원격

조작 기능 정상 여부.

⑤수동기동장치의 작동에 대한 감시기능의 정상 여부.

⑥기타 기능의 정상 여부.

7).상전원.

①연료 20분이상 확보 여부.

②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의

절환 여부..

 

3-1. 비상콘센트 종합정밀 점검함목.

(교재에 별3개)..

 

1.전원배선.

암기법 : 상분전 상비 배..

1)용전원의 기 및 용여부.

2)용전원 및 상전원의 적부.

3)선 종류의 적부..

 

2.콘센트 .

암기법 : 화재안전기준과 동일함.

전원 용수전 전용콘접.

풀플량 콘수위배 표절분배차.

1)전원회로의 공급량의 적부.

2)전원회로의 설치의 적부.

3)전원회로의 용여부.

4)전용회로의센트 접속의 적부.

5)박스 규격의 적부.

6)플럭접속기의 종류, 접지공사 적부.

7)전선 용의 적부.

8)센트 설치량의 적부.

9)콘센트의 설치치 적부.

10)콘센트의 치기준의 적부.

11)개폐기의 “비상콘센트” 설치여부.

12)전원부와 외함간의 연저항 및 절연내력의 적부..

13)기배선용 차단기 설치 및 보호함의 적부.

14)선용차단기의 규격 및 충전부 노출방지 여부..

 

3.보호함

암기법 : 구표위..

1)보호함 조의 적부.

2)지설치여부.

3)치표시등 적부..

 

3-2. 무선통신보조설비 종합정밀 점검.

(교재에 별3개)

1).누설동축케이블 등.

암기법: 소전복 누공동공..

누 전고종 공설동임..

1)방전용주파수대에서 송 또는 사의 적부.

2)설동축케이블인 경우 중선과 접속 적부.

3)축케이블인 경우 중선과 접속여부.

4)누설동축케이블의 기 특성 변질여부.

5)누설동축케이블의 정, 지지 적부.

6)누설동축케이블의 말단에 단저항

설치적부.

7)누설동축케이블 및 중선의 치위치 적부.

8)설동축케이블 또는 축케이블의

피던스 적부..

 

2.접속단자.

암기법 : 장규함..1)설치소의 적부.

2)단자의 격, 설치위치, 설치거리의

적부.

3)단자보호의 구조, 색상,

표시의 적부..

 

3.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암기법 : 먼스부임환..

1)지, 기, 식 등에 의한 기능의 이상여부.

2)피던스의 적부.

3)설치장소 경의 적부..

 

4.증폭기.

암기법 : 상비 전표압..

1)용전원의 적부.

2)상전원의 적부.

3)원까지의 배선 전용여부.

4)전원시등 및 전 설치여부..

 

4-1. 연결살수설비/연소방지설비 종합정밀점검항목 중 송수구의 점검항목.★★

연결송수관설비도 동일함.

암기법 : 장수규1 헤밸자체.

(sp : 장개규표 이면자체.

옥내:장개규표 이자체.)

1)설치소 및 설치위치, 표시의 적부.

2)송수구의 설치 적부.

3)송수규의 격 및 접결나사의 보호상태.

4)1 송수구역의 드 수 적부.

5)브의 부착순서의 적부.

6)동배수밸브, 크밸브의 적부..

 

4-2. 연결살수설비.(연소방지설비)의

배관의 종합정밀 점검항목.

암기법 : 해구 폐배시 개주기 가배수.

1)드수별 배관 경의 적부.

2)쇄형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관접속의 적부.

3)쇄형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험배관의 적부.

4)방형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배관의 울기 적부.

5)지배관 관방식 및 헤드

설치의 적부..

 

4-3.연결살수설비의 헤드에 대한 종합정밀 점감항목은 ?.★★

암기법 : 장해거 장가 설

(장해거의 두 번 장가?)

1)설치소, 드 상호간 리의 적부.

2)애 여부.

3)연성가스시설인 경우 살수범위의 적부.

4)헤드 치 제외 적용의 적부..

 

4-4. 연결송수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배관의 점검항목.

암기법 : 재구겸.

1)배관질의 적부.

2)주배관 경적부.

3)다른 설비와 용시 적부..

 

4-5. 연결송수관설비 종합정밀점검중

방수구 점검항목.

암기법 : 장수 방종규개 위표.

1. 설치소 및 설치치의 적부.

2. 설치, 설치의 적부.

3. 수구의류, 격의 적합여부.

4. 방수구의 폐기능의 적부.

5. 시 여부..

 

4-6. 연결송수관설비 종합정밀점검 항목중 방수기구 점검항목.

암기법 : 장호위.

1.설치소 및 설치위치의 적부 .

2.스, 관창의 비치여부.

3.치표시의 적부..

 

4-7. 연결송수관설비 종합정밀점검 항목중 옥외송수구의 점검항목은 ?

암기법 :

연송은 장규 수자체순

 

1. 설치소 및 설치위치, 표시의 적부

2. 송수구의 격 및 접결나사의

보호상태.

3. 송수구의 설치 적부.

4.동배수밸브, 크벨브의 적부.

5. 밸브의 부착서의 적부..

 

4-8. 연결살수설비의 종합정밀점검 항목중 옥외송수구 점검항목은.

암기법 : 연살은 장규 수자체순.

선환자작 1해.

 

장규수자체순까지는 연결송수관과 동일.

6. 택밸브의 설치장소 경 및 설치

치의 적부.

7. 택밸브의 동시험 가능 여부.

8. 1송수구역의 드수 적부..

 

5-1. 수원의 점검 착안사항.

암기법 : 수확질장 짚수토심..

1)소요수량은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

2)수질은 다음과 같은 장애가 없는지의 여부.

-짚, 나무조각 등은 부유하는지의 여부.

-수초 등이 범식하고 있는지의 여부.

-토사 등이 침전하고 있는지의 여부.

-심한 냄새 또는 부패하고 있는지의 여부..

■다중이용업소의 소방시설, 방화시설, 기타시설 (작동기능 점검항목).

1. 소방시설

1)소화기 암기법 : 적통안기 성녹..

설치장소에 응할 수 있는 소화기인가.

행 또는 피난에 지장이 없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 비치여부.

전핀, 호스, 노즐 등이 안전하게 부착여부.

④약제 충전간 확인.

 

⑤기간이 오래된 것을 선정하여 능확인.

⑥압력게이지 지시침이 색부위 위치여부 확인..

 

2)간이소화용구.

암기법 : 물소 변손부 물건팽규..

양동이 및 화수조의 형, 상 또는 현저한식 등의 유무.

②수조의 , 조사, 창질석 등이 정량 이상인지 여부확인..

 

3)간이스프링클러설비

암기법 : 물탱크 전배제경..

물탱크는 항상 충분한 양의 물이 들어 있는지의 여부.

동기 및 펌프는 주기적으로 작동확인.

관은 파손, 변형 및 밸브가

잠겨있나 확인.

어반에는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이상 없는가 여부.

보장치 스위치는 항상 on인가 확인..

 

4)유도등 및 유도표지

암기법 : 출비 상 복통..

입구 및 비상구 상단에 설치 확인.

용전원을 차단시켜도 점등 확인.

도 및 로의 구부러진 모퉁이벽에 보행거리 15m 이하마다 설치..

 

5)비상조명등.

암기법 : 거지복계통 비내비차..

①소방대상물의 각 실과 상에

이르는 도, 단, 로에 설치 확인.

비상전원을 장하는 비상조명등에는 상용전원 단시 점등확인..

 

6)가스누설경보기.

암기법 : 표누엘취3..

에 의하여 전기가 통하는가 확인.

②가스설시 적정하게 경보가 발하는가 확인.

LP가스 급시 호스는 3m 이내로 제한여부 확인..

 

2. 방화시설.

1)방화문. 암기법 : 철닫밖열..

재로서 항상 닫혀있는 구조.

으로 열고 나가는 구조인가 확인..

2)비상(탈출)구.

암기법 : 개피 자 진통장..

①항상 방 및 난방향으로 열림.

물쇠 등 잠금장치가 채워져 있나.

③피난탈출구의 입부분 및 피난로에 통행 애여부..

 

3.기타시설.

암기법 : 영누 유방처..

1)영상음향차단장치.

노래반주기 등의 영상음향차단장치는

화재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음향 및

영상이 정지될 수 있는 구조인가 확인.

2)누전차단기.

한달에 1~2회 작동유무를 확인.

3)피난유도선.

복도 및 통로의 구부러진 모퉁이벽에 보행거리 15m이하 마다 설치.

4)방염물품.

방염물품명을 기재.

5)방염처리 여부.

방염처리성적서 등 후처리여부 기재..

 

다중이용업소의 안전시설등

세부점검사항.

[다중이용업소의 특별법

규칙.서식10호] .

암기법 : 안방 소간피. 경방 영누피화..

1.전점검표 비치 적정여부.

2.염대상물품 및 방염처리상태 적정성.

3.화기 및 간이소화용구의 비치

적정성 및 기능점검.

4.이스프링클러설비 적정성.

5.난설비 적정성.

-유도등, 유도표지, 비상조명등,

피난기구 등 기능점검.

6.보설비의 적정성.

-비상벨설비, 비상방송설비,

가스누설경보기 기능점검.

7. 화시설의 적정성.

-방화문 성능의 적합성.

-비상구의 구조 및 적합성.

8. 상음향차단장치의 기능점검.

-위치, 작동방법.

9. 전차단기의 기능점검.

10. 난유도선 확인.

-피난유도선의 각 실 배치 여부.

11.기취급소 및 위험물 안전관리

상태..

출처 : 종민파파
글쓴이 : 종민스 파파 원글보기
메모 :